21년 3월
GoF(Gangs of Four) 디자인 패턴
생성패턴 :
추상 팩토리(Abstract Factory)
빌더(Builder)
팩토리메서드(FactoryMethod)
프로토타입(Prototype)
싱글톤(Singleton)
구조패턴 :
어댑터(Adapter)
브리지(Bridge)
컴포지트(Composite)
데코레이터(Decorator)
파사드(Facade)
플라이웨이트(Flyweight)
프록시(Proxy)
행위 패턴 :
책임 연쇄(Chain of Responsibility)
커맨드(Command)
인터프리터(InterPreter)
이터레이터(Iterator)
중재자(Mediator)
메멘토(Memento)
옵서버(Observer)
상태(State)
전략(Strategy)
템플릿메서드(Template Method)
방문자(Visitor)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1.Booch(부치)
- 미시적, 거시적 개발 프로세스를 모두 사용하는 분석방법.
- 클래스와 객체들을 분석 및 식별하고 클래스의 속성과 연산을 정의
2. Jacobson(제이콥슨)
- Use Case를 사용하여 분석(사용자, 외부 시스템, 다른 요소들이 시스템과 상호 작용 하는 방법을 기술)
3. Coad-Yourdon
-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객체의 행위를 모델링
- 객체 식별, 구조 식별
4. Wirfs-Brock
- 분석과 설계간 구분이 없으며, 고객 명세서를 평가하여 설계 작업까지 연속적으로 수행
스택(Stack): 한쪽 끝으로만 삽입, 삭제 작업이 이루어짐
- 가장 나중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후입선출(LIFO)
큐(Queue): 한쪽에서는 삽입 작업, 다른 한쪽에서는 삭제 작업이 이루어짐
- 가장 먼저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선입선출(FIFO)
리스트, 스택, 큐, 데크 → 선형
트리, 그래프 → 비선형
퀵 정렬: 레코드의 많은 자료 이동을 없애고 하나의 파일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가면서 정렬하는 방식
*삽입정렬: 가장 간단한 정렬 방식, 이미 순서화된 파일에 새로운 하나의 레코드를 순서에 맞게 삽입시켜 정렬
*쉘 정렬: 삽입정렬 확장 개념, 입력파일을 매개변수값으로 서브파일 구성하고 각 서브파일을 삽입정렬 방식으로 순서 배열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정렬
*선택정렬: n개의 레코드 중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고, 나머지 n-1개 중에서 다시 최소값을 찾아 두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는 방식을 반복하는 정렬
*버블정렬: 주어진 파일에서 인접한 두 개의 레코드 키 값을 비교하여 그 크기에 따라 레코드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정렬 방식
*힙 정렬: 전이진 트리를 이용한 정렬 방식
*2-Way 합병 정렬: 이미 정렬되어 있는 두 개의 파일을 한 개의 파일로 합병하는 정렬 방식
-해싱함수 종류
해싱함수에는
제산법, 제곱법, 중첩법(폴딩법), 숫자분석법, 기수 변환법, 무작위 방법이 있다
-SELECT σ시그마
PROJECT π파이
JOIN ▷◁ 나비넥타이
DIVISION ÷나누기
-릴레이션 = 테이블
튜플(Tuple) = 테이블의 행
속성(Attribute) = 테이블의 열
릴레이션의 논리적인 구조를 정의한 것은 '릴레이션 스키마'이다
-기능적-순차적-교환적-절차적-시간적-논리적-우연적
기순교 절시논우 (응집도 높은 것부터)
-1.데이터링크계층 - 동기화/오류제어/순서제어
2.물리계층 - 실제 접속 및 절단/기계,전기,기능,절차적 특성 규칙 정의
3.응용계층 - 전자사서함/파일전송
4.표현계층 - 데이터 변환/데이터 암호화/정보형식변환
-IPv4 :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IPv6 :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결합도 높은 순 (내공부 제스자)
(내): 내용 결합도
(공): 공통 결합도
(부): 외부 결합도
(제): 제어 결합도
(스): 스탬프 결합도
(자): 자료 결합도
Char(문자) = 문자 하나를 저장
String(문자열) = 나열된 여러 개의 문자
-tripwire : 자신의 리눅스시스템을 외부의 크래커 공격과 내부의 악의적인 사용자의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지켜내는 마지노선과 같은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
tcpdump : 컴퓨터에 부착된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기타 패킷을 가로채고 표시할 수 있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cron : 스케쥴러를 실행시키기 위해 작업이 실행되는 시간 및 주기 등을 설정하게되는데 ()표현식을 통해 배치 수행시간을 설정
netcat : TCP 또는 UD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읽고 쓰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네트워킹 유틸리티
'자격증, 강의 후기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1년 5월) (1) | 2023.05.11 |
---|---|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020년 9월) (9) | 2023.05.08 |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020년 8월) (0) | 2023.05.04 |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020년 6월) (1)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