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구성요소
입력, 출력, 처리, 제어, 피드백
빌드자동화 도구
Ant, Maven,Gradle
형상 관리 도구
Git,CVS,Subversion
버블정렬
버블 정렬은 첫 번째 자료와 두 번째 자료를, 두 번째 자료와 세 번째 자료를, 세 번째와 네 번째를, … 이런 식으로 (마지막-1)번째 자료와 마지막 자료를 비교하여 교환하면서 자료를 정렬한다.
정렬 시간소요
O(N*log2N) : 선형 로그형 복잡도 : 로그,변수에 비례 ⇒ 퀵정렬,병합정렬
O(N2) : 제곱형 : 제곱에 비례 ⇒ 버블정렬, 삽입정렬, 선택정렬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xUnit, STAF, Fitnesse, NTAF, Selenium, watir
-개념적 설계: 사용자의 요구사항 분석 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추상적인 형태를 설계
- 개념적 모델을 이용한 개념적 스키마 생성(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추상적인 설계도, 개체 관계 다이어그램)
논리적 설계: 논리적 모델을 이용하여 논리적 스키마 생성
- ERD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 테이블 구조도,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ERD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테이블들의 집합
물리적 설계: 특정 DBMS가 제공하는 물리적 구조에 따라 테이블 저장 구조 설계
- 필드의 데이터 타입, 인덱스, 테이블 저장 방법 등을 정의
병행제어 기법
로킹 기법
타임 스탬프 기법
최적 병행 수행 기법 (검증 기법, 확인 기법, 낙관적 기법)
다중 버전 기법
순수 관계 연산자
- select δ ⇒수평단절, 행을 다가져옴
- project π ⇒수직단절, 열을 다가져옴
- join ▷◁ : 공통 속성을 이용해 두개의 릴레이션 튜플을연결→만들어진 튜플로 반환
- division ÷ : 릴S의 모든 튜플과 관련있는 릴R의 튜플반환
차수는 합 카디널리티는 곱
- Collision Domain : 충돌 발생을 검출할 수 있는 브리지 간 혹은 다른 계층 장치 간의 이더넷 세그먼트 범위
- CSMA/CD : 이더넷에서 각 단말이 정송 공유 매체에 규칙있게 접근하기 위한 매체 엑세스 제어 방식
- CSMA/CA(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충돌 방지"
무선 랜에서 데이터 전공 시, 매체가 비어있음을 확인한 후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임의 시간을 기다린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네트워크에 데이터의 전송이 없는 경우라도 동시 전송에 의한 충돌에 대비해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
- CSMA/CD(
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충돌 감지"
이더넷에서 각 단말이 정송 공유 매체에 규칙있게 접근하기 위한 매체 엑세스 제어 방식
- Collision Domain "충돌 도메인"
충돌 발생을 검출할 수 있는 브리지 간 혹은 다른 계층 장치 간의 이더넷 세그먼트 범위
-내용(content) > 공통(common) > 외부(external) > 제어(control) > 스템프(stamp) > 자료(data)
내 공부 제가 스트레스 받자
내공제스자
일방적으로 페이지수행 시간보다 교환시간이 커질 때 발생하는걸 스레싱현상이라 한다.
페이징 기법
페이징 기법 : 컴퓨터가 메인 메모리에서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
페이징기법을 통해 물리적 메모리는 연속적으로 할당되어 존재할 필요가 없음
페이징기법을 통해 비연속적 메모리를 연속적메모리처럼 만들 수 있음
*페이지 크기가 작은경우
더 많은 페이징 사상테이블 필요
내부 단편화 감소
페이지의 집합을 효율적으로 운영가능
기억장치의 효율이 좋음
총 입출력 시간 증가
*페이지크기가 큼
주기억 장치 공간 절약
참조되는 정보와 무관한 양의 정보가 주기억 장치에 남게 됨
테이블이 복잡하지 않아 관리 용이
모듈 내부 응집도
약함<< 우연적-논리적-시간적-절차적-교환적-순차적-기능적 >>강함
(우)리 (논)산 (시)(절) 기억나?
(교)자랑 (순)대 (기)대했는데.
-소프트웨어의 생명 주기 동안 필요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획득, 공급, 개발, 운영, 유지보수 등으로 구성된다
-SPICE 6단계
0단계 불안정 (구현 전 or 목적 달성 전)
1단계 수행 (목적이 전반적으로 이뤄짐)
2단계 관리 (작업 산출물 인도)
3단계 확립(공학 원칙을 지킴)
4단계 예측(산출물의 양적 측정이 가능해져, 일관된 수행 가능)
5단계 최적화(지속적으로 업무 목적 만족)
암호화 기법
암호화 기법은 단방향인 HASH기법과 양뱡향인 공개키 기법과 개인키 기법이 있다.
1. RSA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으로 암호화 키는 공개키를 복호화 키는 비밀키를 사용한다.
2. AES는 개인키 암호화 기법으로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하다.
3. DSA는 미국의 전자서명 표준이다.
4. ECC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이다
'자격증, 강의 후기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1년 3월) (0) | 2023.05.09 |
---|---|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020년 9월) (9) | 2023.05.08 |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020년 8월) (0) | 2023.05.04 |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오답 (2020년 6월) (1)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