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파이썬에서는 `datetime` 모듈을 사용하여 날짜와 시간을 다룰 수 있다.
`datetime` 모듈에서는 `datetime` 클래스를 제공하며, 이 클래스를 사용하여 날짜와 시간을 다룰 수 있다.
먼저, `datetime` 모듈과 `datetime` 클래스를 임포트한다.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timedelta
그리고 날짜를 나타내는 `datetime` 객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2023년 4월 24일을 나타내는 `datetime` 객체를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date1 = datetime(2023, 4, 24)
이제, 다른 날짜와의 간격을 계산하려면 또 다른 `datetime` 객체를 생성하고, 두 객체 간의 차이를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2023년 4월 30일과 2023년 4월 24일 사이의 일수를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한다.
date2 = datetime(2023, 4, 30)
delta = date2 - date1
print(delta.days) # 6
위의 코드에서 `delta`는 `timedelta` 클래스의 객체이며, `delta.days`는 `date2`와 `date1` 사이의 일수를 나타낸다.
참고로, `timedelta` 객체는 날짜와 시간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timedelta` 객체를 생성할 때는 `days`, `hours`, `minutes`, `seconds`, `microseconds`, `milliseconds`, `weeks` 등의 인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일을 나타내는 `timedelta` 객체를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한다.
td = timedelta(days=3)
728x90
반응형
'tool 공부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결측치와 공백 다루기 (0) | 2023.08.03 |
---|---|
리스트 컴프리헨션 (list comprehension) (0) | 2023.07.31 |
파이썬 .reset_index() 인덱스 없애기 (0) | 2023.07.02 |
파이썬 정규식 (0) | 2023.05.10 |
파이썬 공휴일 전날 여부 컬럼 생성 (0) | 2023.05.08 |